안녕하세요? 독거노인입니다...
아침부터 날씨가 장난이 아니네요!
윗쪽은 더 많이 춥겠죠? 따뜻하게 챙겨 입으시길 바랄께요^^
오늘은 종자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종자?? 누구야? ㅎㅎ
< 사진 출처 : KBS 스페셜 >
지금 세계 각국을 종자를 확보하기 위한 전쟁을 하고 있습니다...
뭐 오래전 부터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우리의 것이지만 로열티를 내는 청양고추!!
다들 아시죠? IMF에 우리 종자기업이 외국회사에 팔리면서
우리 것이지만 우리것이 아닌 상황이 된 청양고추~
사실 이런게 한두가지가 아닌것이 또 현실이죠!
문제 1> 유럽에서 크리스마스트리로 가장 인기를 끄는 나무는?
문제 2> 라일락 꽃의 뿌리는 어느나라 일까요?
정답은 구상나무(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종) , 우리나라(털개회나무) 입니다.
유럽에서 크리스마스트리로 큰 인기를 끄는 나무로 구상나무가 단연 으뜸입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 가져간 구상나무를 미국의 아놀드수목원을 비롯한 몇몇 수목원에서 종자개량을 통하여 생육 조건을 변화하여 전 세계에 팔아먹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로열티 한 푼 받을 수도 없습니다.
대표적인 종자유출의 사례를 보여 주는 것이 라일락입니다. 세계적으로 정원수로 이름을 날리는 라일락도 역시 우리나라 자생 식물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1947년 미국인 식물 채집가 미더가 북한산에서 채집해 간 '털개회나무' 씨앗이 품종 개량돼 라일락으로 탄생했습니다.
우리나라가 종자에 대한 관념(?)이 없던시절, 외국으로 반출되고 만 대표적인 사례로 지적되죠.
지금은 우리나라가 수입을 하면서 로열티를 계속 지불하고 있습니다.
얼마전 정규화 교수님에 관한 글을 보았습니다.
30년동안 전남대 교수로 계시면서 7000여종의 야생콩을 모은 정규화 교수님!!
헐~ 뭔 콩 종류가 저렇게 많아?
미국에서 수십억 제안했지만 우리 야생콩을 넘기지 않았습니다
현재 미국은 20,108점의 재배콩 종자를 보유하고 있다. 중국과 함께 세계 최대 수준이다. 문제는 원시유전자원이 담겨있는 야생콩 종자가 1,181점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2만여종의 재배콩 종자를 보유한 미국도 야생콩 종자는 1,181점...
7000여점을 보유한 정규화 교수님이 대단할 수밖에 없는 이유죠...
미국과 세계 2위 종자회사의 제안도 뿌리치고, 종자 주권을 지키려는 교수님이 너무 멋지더군요!
우리나라도 종자확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우리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느낄순 없지만... 종사산업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